제주도 여행_02 (2010년 12월 29일~31일) 오' 설록 차 박물관입니다. 박물관 주변에는 넓은 차 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돌아 가는 바람개비는 서리를 방지하는 용도라고 합니다. 눈 보라가 거세집니다. 제주도 날씨는 수시로 변합니다. 해피타운에서 서커스도 보았습니다. 다음은 테무친의 검은 깃발이라는 야외공연입니다. 눈 바람 속에서 말.. 여행 이야기 2011.01.03
제주도 여행_01 (2010년 12월 29일~31일) 2010년 연말. 2박 3일 일정으로 교직원 친목회에서 제주도로 여행을 갔습니다.부산 공항에서 제주항공을 이용했습니다. 용연입니다. 용연 구름 다리를 지나서 용두암으로 향했습니다. 예전에 학생들 수학여행 인솔해 올때 많이 왔던 곳입니다. 도두봉(도들오름)에서 내려다 본 제주공항 모습...다소 바.. 여행 이야기 2011.01.02
이런 트럭도 있네! 시골 어느 장터에 갔다가 만난 중국에서나 있을 것 같은 개조 트럭입니다. 철공소에서 트럭엔진 집어넣고 뚝딱 뚝딱 만든것 같습니다. 배터리, 전조등, 방향 지시등, 백미러, 스페어 타이어....트럭이 갖출 것은 다 갖추었지만 번호판도 보험도 없는 불법차량입니다. 기분나면 국기도 게양할 수 있도록 .. 사진 이야기 2010.12.15
볏짚 눈사람 볏짚은 소를 키우는 농가에서는 사료 대용으로 쓰입니다. 요즘은 들판의 볏짚을 거두면서 기계로 비닐 포장을 해서 보관하다 사용하는데, 왠만한 비가 와도 볏짚이 젖지 않아 좋습니다. 들판 곳곳에 흩어져 있는 포장된 볏짚을 보면 떡뽂기에 들어가는 떡 같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저께 지방도.. 사진 이야기 2010.12.15
망개 나무 '망개도 과실이고 일전도 재물이다' 이런 이야기 들어본적 있지요. 하찮은 것이라도 결코 무시하지 말자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실제로 망개나무는 해독제 등의 약재로서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중부 지방에서는 망개나무를 청미래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망개떡 안먹어 본 사람은 없겠지요. 망개나무.. 사진 이야기 2010.12.10
주상절리 포항시 흥해읍 달전리에는 천연기념물 제415인 주상절리가 있습니다. 포항시 연화재에서 위덕대 방향으로 달리다 보면 오른편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는데, 5각형 내지 6각형의 현무암 돌기둥이 높이 20m 폭 100m의 규모의 암벽을 이루어 병풍처럼 펼쳐져 있습니다. 주상절리는 지각변동이나 풍화작용, 지.. 역사 이야기 2010.12.01
조선시대 호적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 문화마을 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호적 단자 입니다. 호적은 3년마다 한번씩 작성하는데 호구를 파악하여 군역, 요역의 부과와 신분의 판별 및 노비 소유권의 확인 등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위 호적의 오른쪽 상단을 자세히 보면 기계현 북쪽 오도지리(현 오덕리)에.. 역사 이야기 2010.11.24
까치 밥 차가운 바람에 홀로 남은 까치 밥 한 알 겨울 날 마실 나갔다 온 선머슴아 볼 처럼 붉게 물들었습니다. 청자 보다 파란 하늘을 등지고 땅을 내려다 보고 있는 까치 밥은 어떤 날짐승의 간택을 받을지 궁금해 집니다. 사진 이야기 2010.11.22
1897년 명성황후 국장 1897년 명성황후 국장 모습 1895년 10월 8일(음력 8월 20일) 새벽, 명성황후는 당시 주한 일본공사 미우라가 궁중에 잠입시킨 낭인들에 의해 처소였던 건청궁(乾淸宮) 앞마당에서 무참하게 살해됩니다. 명성황후의 시신을 옥호루(玉壺樓)로 옮긴 일본 낭인들은 시신을 홑이불에 싸서 인근 녹원(鹿園)에서 .. 역사 이야기 2010.11.16
미륵보살반가사유상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은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인생의 의미와 깨달음에 대해 고민하던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국보 83호인 위 사진의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7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불상은 삼.. 역사 이야기 2010.11.12